5월 종합소득세 신고 끝났다면? 세금 납부 총정리 – 분납·미납·주의사항
"5월에 종합소득세 신고 끝냈으니까 이제 다 끝난 거 아니야?"라고 생각하셨다면... 아직 반쯤만 끝낸 거예요! 😅
신고는 신고고, 진짜 중요한 건 세금을 납부하는 거랍니다.
납부 기한을 넘기면 가산세가 철썩!, 여유가 없으면 분납도 가능하고요.
이번 글에서는 신고 후 꼭 챙겨야 할 세금 납부 관련 정보를 한 번에 정리해드릴게요. (간이과세자 분들도 보셔야 해요!)

✅ 1. 종합소득세 납부 기한은 언제까지?
- 2025년 6월 2일(월)까지!
- 원래 납부 기한은 5월 31일(토)이지만, 주말이라 2025년 6월 2일(월) 까지 자동 연장됨.
- 이 기한까지 '실제 납부'가 완료돼야 함 (신고만 하고 끝 아님!)
💡 종합소득세 납부 대상은 사업소득, 근로소득, 기타 소득 등이 있는 사람 모두 포함됩니다.
2024년에 소득이 있었고, 5월에 종합소득세 신고를 했다면 👉 6월엔 납부까지 꼭 해야 마무리예요!
💳 2. 납부 방법 총정리
- 홈택스 바로납부 (계좌이체 / 신용카드)
- 홈택스 로그인 > 신고납부 > 국세납부 > 바로납부
- 모바일 손택스 앱
- 앱에서 바로 계좌이체 가능, 신용카드 납부도 OK
- ARS 납부 (1544-9944)
- 음성안내 따라 카드번호 입력하면 완료
- 은행 창구 납부
- 홈택스에서 출력한 납부서 또는 전자납부번호 지참
- 지로(Giro) 사이트 납부
- www.giro.or.kr에서도 납부 가능
💰 3. 분납도 가능할까? (납부가 부담된다면!)
✔️ 납부세액이 1000만 원 초과일 경우, 분납 가능!
- 1차 분납: 2025년 6월 2일까지 (일단 일부 납부)
- 2차 분납: 2025년 8월 31일까지 나머지 납부
💡 분납할 땐 반드시 홈택스에서 '분납 신청' 체크하고 금액 지정해야 해요.
※ 1000만원 이하일 경우엔 분납 대상이 아님 😢
🚨 4. 납부 안 하면 어떻게 돼요? (미납 시 불이익)
- 무신고 가산세 / 납부불이행 가산세 발생
- 무신고 시: 최대 20% 가산세
- 미납 시: 하루하루 지연이자 추가 (연 9% 수준)
- 납부독촉 → 압류 진행 가능성
- 장기 미납 시, 통장 압류 / 환급금 압류 등 조치될 수 있음
- 불이익은 생각보다 빨리 다가옴
- 신고는 했는데 납부 안 한 경우도 위험합니다! (국세청은 가차없어요..😬)
👉관련글: 자영업자라면 꼭 알아야 할 홈택스 4대 보험 납부내역 확인 & 종합소득세 원클릭 신고법 (2025년 최신)
👀 간이과세자도 신고했으면 납부는 필수!
"나는 간이과세자라 안 해도 되는 줄…" 하셨다면, 주목!
- 간이과세자도 사업소득이 있다면 종합소득세 신고·납부 대상이에요.
- 신고는 했는데 문자나 우편 안내가 안 왔다고 해서 납부 안 하면 X
- 과세표준이 낮아 납부세액이 없을 수도 있지만, 신고와 확인은 필수!
🧾 정리하면 이렇게!
항목 | 내용 |
---|---|
납부기한 | 2025년 6월 2일(월)까지 |
분납 가능? | 납부세액 1,000만원 초과 시 가능 (2회 분납) |
납부 방법 | 홈택스, 손택스, ARS, 은행, 지로 등 |
미납 시 | 가산세 + 독촉 + 압류 가능성 있음 |
간이과세자 | 소득 있으면 신고/납부 둘 다 해야 함 |
조용히 지나갈 줄 알았던 5월의 끝자락,
사실 진짜 고비는 6월 2일까지의 납부입니다!
가볍게 넘기지 말고, 꼼꼼하게 체크하고 납부까지 마무리하세요 💪
필요하면 홈택스 로그인해서 내 납부세액 먼저 확인해 보는 거, 잊지 마세요!
세금은 아는 만큼 안 떨려요 😎